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공부하기

전선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정격 전류 - 절연전선과 CV케이블

by chillcat 2025. 5. 6.
반응형
전선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정격 전류

목차

    👉전선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정격 전류 알아보기

    전선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정격 전류

    전선은 전기를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한 필수 요소로, 그 종류에 따라 정격 전류가 달라집니다. 전기공사에서는 특정 전선의 사용과 그에 따른 허용전류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선의 종류에 따라 그 특성과 허용전류가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파악하지 못하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전선의 종류, 특히 절연전선과 CV 케이블의 특징과 허용전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선 종류에 따른 정격 전류는 설치 환경이나 사용 목적에 따라 달라지며, 적절한 전선 선택은 전기공사의 성공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많은 전기 기술자들이 전선의 허용전류를 쉽게 기억하기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에 대한 명확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본 글에서는 전선의 종류와 허용전류를 구체적으로 정리하여 여러분의 전기공사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전선의 종류와 특징

    절연전선

    절연전선은 전기공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전선으로, 일반적으로 IV, HIV, HFIX 전선이 포함됩니다. 이들 전선은 전선의 재질과 구조에 따라 허용전류가 달라지며, 각각의 전선은 특성이 있습니다. IV 전선은 내열온도가 70도이며 허용전압은 450/750V입니다. HIV 전선은 내열온도를 강화하여 90도로 설정하고 있지만, 허용전압은 IV 전선보다 낮은 300/500V입니다. HFIX 전선은 저독성 가스를 배출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내열온도는 90도입니다.

     

    절연전선들은 일반적으로 기구나 조명을 배선하는 데 많이 사용되며, 고부하 용량에 직접 연결할 때 많이 활용됩니다. 절연전선은 내부에서 발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위해 반드시 전선관과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아래는 다양한 절연전선의 허용전류 표입니다.

    공칭단면적 (㎟) 2개 부하도체 (단상) 3개 부하도체 (3상)
    1.5 14.5 13.5
    2.5 19.5 18
    4 26 24

    CV 케이블

    CV 케이블은 굵은 전선을 통해 높은 허용전류를 제공하는 전선으로, 일반적으로 내선에서 고부하 용량에 직접 연결하거나 인입선로를 통해 사용됩니다. CV 케이블은 절연성이 뛰어나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도체를 보호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CV 케이블의 경우, 단심 케이블과 다심케이블이 있으며, 각각의 허용전류는 다릅니다.

     

    CV 케이블은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고온 및 고습 환경에서도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 표는 CV 케이블의 허용전류를 정리한 것입니다.

    공칭단면적 (㎟) 단심 케이블 다심 케이블
    1.5 - 24
    2.5 - 33
    4 - 45

    정격 전류의 결정 요소

    주변 온도

    전선의 허용전류는 주변 온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일반적으로 주변 온도가 올라가면 전선의 허용전류는 감소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르면, 주변 온도가 40도 이상일 경우 전선의 허용전류는 급격히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전선 설치 전에 주변 온도를 최소한으로 측정하고 고려해야 합니다.

     

    주변 온도가 15도에서 50도까지의 범위에서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허용전류를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각 상황에 맞는 허용전류를 산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주변 온도가 30도일 경우 보정계수는 0.96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도체의 집합 상태

    여러 가닥의 전선을 함께 배선할 경우, 상호 간의 발열 효과로 인해 각 전선의 허용 전류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다심케이블이나 여러 단심 전선을 묶어서 배선할 때 두드러집니다. 따라서 전선의 집합 상태에 따라 허용전류는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집합 상태에 따라 감소계수가 적용되며, 이는 전선의 배열에 따라 다르므로 설치 전에 정확히 계산하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2개 부하도체의 경우 감소계수는 0.80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전선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정격 전류 바로보기

    FAQ

    Q1: 전선의 허용전류란 무엇인가요?

    전선의 허용전류는 전선이 안전하게 전기를 전달할 수 있는 최대 전류를 의미합니다. 이를 초과할 경우 전선이 과열되어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Q2: 왜 주변 온도가 허용전류에 영향을 미치나요?

    주변 온도가 높을수록 전선의 발열이 증가하여 허용전류가 감소합니다. 이는 전선의 절연체와 재질이 고온에서 열화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Q3: 절연전선과 CV 케이블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절연전선은 일반적으로 내부에서 사용되며, CV 케이블은 외부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한 굵은 전선입니다. 또한, CV 케이블은 더 높은 허용전류를 제공합니다.

    결론

    전선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정격 전류는 전기공사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절연전선과 CV 케이블의 특징을 이해하고, 주변 온도와 도체의 집합 상태에 따른 허용전류를 올바르게 계산하는 것은 안전한 전기공사를 수행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본 블로그를 통해 전선의 종류와 허용전류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길 바라며, 안전하고 효과적인 전기공사에 기여하기를 바랍니다.

     

    전선의 종류와 허용 전류에 대한 정보는 언제나 중요한 주제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전기공사 시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시공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전선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정격 전류 확인하기

    반응형